쌀 생산성 증대 위한 관개시설 태부족

기사입력 : 2012년 09월 17일

캄보디아 최대 곡창지대인 바탐방 지역의 농민들은 쌀 생산량 증대를 위해서는 더 많은 관개시설, 더 많은 연수와 농기계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올해 84세인 훈 뻬는 여태껏 단 한번 도 지역당국이나 NGO가 내 논에서 농사법을 가르쳐 준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동네 사람들이나 라디오를 통해서 농사법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훈 뻬는 자신의 논에서 1년에 3모작이 가능한데, 헥타당 7톤 정도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그 또한 생산된 벼를 베트남이나 태국 중개인한테 판매한다. 이들 중개인들은 농민들로부터 직접 벼를 구입해 간다. 판매 가격은 톤당 $330 정도이며, 지역 판매자들에게도 비슷한 가격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농사를 지어서 큰 소득을 올리지 못하자 많은 바탐방 젊은 인력들이 태국에 이주해서 일자리를 구하고 있다. 농민들은 농사를 더 잘 짓기 위해서 지식과 정보, 그리고 관개시설을 필요로 한다고 한 목소리로 말하고 있다.
 
뻘 빈(41세, 농민)은 정부가 캄보디아 쌀의 품질을 끌어 올려 수출량을 증대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해 들은 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관개시설을 필요로 하지만, 반면에 자신의 논에 물을 댈 수 있는 시설이 너무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정이 이러한데 어떻게 정부가 계획한 대로 생산성을 늘일 수 있겠느냐고 되물었다.
 
캄보디아는 2015년까지 쌀 수출 1백만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는 전국적으로 재배 면적을 넓히고 관개시설 투자금을 늘일 계획을 갖고 있다. 정부는 2009년 1억100만 달러, 2010년에 1억8900만 달러를 지원해왔다. 캄보디아에서 대부분의 농민들은 1헥터 당 2~3 톤 정도의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농기계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생산량 증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본에서 농기계를 수입하는 회사인 재패맥스의 이마하시 타카유키 대표는 캄보디아 농민들 중 대부분이 농기계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으며, 그 증가율도 굉장히 느리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농기계를 사용한다면 투입되는 노동력을 줄이고 생산량 또한 쉽게 늘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히은 반한 노동부 부총국장은 정부가 수입 농기구에 관세를 낮추는 등의 일을 하면서 농기계의 가격 부담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