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뉴스

  • 011
    캄보디아, 도로교통법 손 본다 “교통사고 줄일 것”

    ▲프놈펜의 평소 교통 상황. 새 교통법은 도로 안전과 통행료 감소를 목표한다. 새 도로교통법 초안이 이번 주 캄보디아 각료 회의에 상정된다. 교통사고 감소를 목적으로 제정된 새 교통법은 6차 정부 때부터...

  • 010
    캄보디아, 대출 증가율 20년 만에 최저

    ▲2024년 상반기의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성장률은 각 1.4%, 0.8%에 그쳤다.  캄보디아의 대출 증가율이 지난 20년 사상 최저인 2.6%를 기록했다. 반면, 상반기 전반적 경제 성장률은 6.3%로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지난 19일,...

  • ▲ 현지에서 왕가거북으로 알려진 멸종위기종 남방강거북(Batagur affinis) 20마리가 7월 19일 자연으로 방사됐다.
    10년새 개체수 206마리 기록…멸종위기종 왕가거북 20마리 자연으로

    캄보디아 야생동물보호협회(WCS)는 꺼꽁 파충류보호센터(KKRCC) 확장 기념식에서 현지에서 왕가거북(Royal Turtle)으로 알려진 멸종위기종 남방강거북이(Batagur affinis) 20마리를 쓰라에엄벌강에 방사됐다고 지난 19일 전했다. WCS에 따르면 꺼꽁 주 몬돌쎄마 지역에 위치한 KKRCC는 왕가거북과 샴악어(Crocodylus...

  • ▲ 찌어 쎄레이 NBC 총재(가운데)는 지난 21일 시엠립 주 내 상업은행 대표들과 오래되거나 파손된 미국 달러지폐를 수수료 없이 교환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NBC “시엠립서 파손 달러지폐 무료교환”

    캄보디아 중앙은행(NBC)이 시엠립 주에서 파손된 달러 지폐의 원활한 교환을 위해 나섰다. 7월 18일 시엠립을 비밀리에 방문한 훈 마넷 총리는 파손된 달러 지폐의 교환 문제가 관광객 손실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총리의...

  • 2024-07-19-800++ ¦¦+» ICT¦¦+¦ ¦-++-º¦«_1
    KOICA…노동부와 ICT교육 프로젝트 론칭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노동직업훈련부는 7월 18일 캄보디아 기술 및 직업교육 훈련기관(TVET)의 ICT 전공자 역량 강화 및 지원 환경 구축을 위한 5개년 사업을 공식 출범했다.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금 800만 달러로 진행됐으며,...

  • 2024-07-18--»¦+¦=+¦ +¦-++++s ¦F++ +¦+s_1
    맥주 시장… 중산층, 도시화, 관광객 증가로 계속 성장

    ▲내용없음 캄보디아 맥주 시장은 중산층의 성장, 급속한 도시화, 활기찬 관광 산업을 포함한 여러 요인의 조합으로 놀라운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맥주 수요의 급증을 촉진함에 따라 시장 규모는...

  • 19_7_2024_visitors_take_photos_at_angkor_thom_s_south_gate_this_week_ana
    바콩 시스템, 해외 관광객 소비 용이

    캄보디아 국립은행(NBC)은 해외 관광객들이 캄보디아 방문 중 소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콩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지난 19일 찌어 세레이 NBC 총재가 발표했다. 세레이는 NBC 반기 리뷰에서 “곧...

  • 19_7_2024_xi_jingping_blvd
    3번 순환도로, ‘시진핑 대로’ 명명

    ▲ 시진핑 대로 표지판 왕원빈 주캄보디아중국 대사는 지난 19일 프놈펜 포센쩌이 구 짬짜오 지역에서 열린 기념행사에서 중국 주석의 이름을 딴 시진핑 대로 명명은 중국과 캄보디아의 끊을 수 없는 우정을...

  • 찌어 짠타 비공식경제독립민주주의협회(IDEA) 스바이리응 지역대표
    노동단체 대표, 국가사회보장기금 소개하다 체포

    노동단체 비공식경제독립민주주의협회(IDEA)의 스바이리응 지역대표 찌어 짠타는 지난 18일 ‘공적 기능 수행에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활동’을 한 혐의로 주 법원에 기소됐다. 그는 체포된 16일 스바이리응 주 바벳에서 열린 기후변화와 사회보장에 관한...

  • 2024-07-11-++¦-¦¬¦( ¦++±+v ¦»¦+ ¦F+¦
    시하눅빌, 2038년까지 녹색 스마트 시티 무역 및 금융 허브

    ▲시하눅빌주 2025년부터 2038년까지 시하눅빌을 선도적인 지역 물류 허브, 국제 무역 및 금융 센터, 세계적 수준의 관광지, 지능형 녹색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총괄 계획이 개발됐다. 이는 경제재정부가 7월 9일 ‘시하눅빌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