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더 알아보기] 제68화 캄보디아식 체스 “옥”

기사입력 : 2021년 09월 16일

ㅈㄴㄴ▲ 20세기 초의 캄보디아식 체스 세트

  “옥(អុក, Ok)” 또는 “옥 쩟뜨렁(អុកចត្រង្គ, Ouk Chatrang)”은 한국의 장기와 유사한 캄보디아식 보드게임을 가리킨다. 영국의 체스전문가 D. B. Pritchard에 따르면, 캄보디아 고유의 체스는 인도에서 유래된 태국식 “막룩(Makruk)”과 중국식 장기(象棋[샹치])가 혼재된 형태였다. 그래서 기물의 배치나 이동은 장기처럼 교차점과 선을 따라 움직였다고 하는데 현재 증언자와 증거 모두 소실된 상황이다. 이러한 Pritchard의 견해 역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가운데, 오늘날 캄보디아인들이 즐기는 “옥”은 태국식에 가까운 편으로 알려져 있으며 게임의 준비와 기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게임 준비

img

게임용 보드는 서양식 체스보드와 동일한 8행8열의 64면이며 기물은 흑색 진영 및 백색 진영에 각각 16개가 있다. 보드의 양측으로 색깔이 같은 기물끼리 위계에 따라 상대측과 마주하여 진영을 구축한다. 그리고 두 명의 선수가 마주 앉아서 상대측의 킹을 잡기 위해 전략을 구사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캄보디아에서는 재미와 긴장을 배가하기 위해 단체전 형식으로 경기한다고 한다.

캄보디아의 “옥”은 한국의 장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서양의 체스처럼 칸 단위로 이동하고 포획하며 기물마다 조금씩 다른 규칙이 작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규칙도 게임자들간에 견해가 충돌하기도 해서 사전에 합의를 전제한다. 기물의 특징적인 규칙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 은 모든 방향으로 1칸 이동하며, 첫 번째 이동 후에 좌우로 말처럼 이동 가능하다.

- 왕비는 모든 방향을 대각선으로 1칸 이동하며, 첫 번째 이동 후에 2칸씩 전진 가능하다.

- 기둥은 모든 방향을 대각선으로 1칸 또는 앞으로 1칸 이동한다.

- 는 장기의 말(馬)과 차(車)의 움직임과 유사하다.

- 물고기는 1칸 전진하며 대각선 1칸의 기물을 포획한다. 3열 전진 후 왕비로 승격하며 몸체를 뒤집는다.

 

ㅈㅈㅈ▲ 12세기 전반기에 건립된 앙코르와트 남서쪽 부속건물 부조에 묘사된 “옥” 장면

“옥”은 앙코르 사원에서 발견되는 여러 부조에 묘사되어 있듯이 캄보디아에서 12세기부터 오랫동안 경기됐다. 이에 따라 태국의 “막룩(Makruk)”도 실상은 게임을 뜻하는 “막(Mak)”을 제외하고 “룩(Ruk)”은 캄보디아어 “옥(Ok)”에서 유래됐을 것으로 추정한다. 오늘날에는 캄보디아올림픽위원회와 캄보디아체스협회가 정한 표준화된 규칙을 통해 2008년부터 매년 4월의 크메르 새해를 즈음해 “옥 쩟뜨렁 우승자 선발전”을 개최하고 있다. 현대의 캄보디아인이 왕실 복장을 하고는 사뭇 진지하게 게임하는 모습을 통해 앙코르제국 전성기 자부심을 재현하고자 함일 것이다.

일상의 캄보디아에서 “옥”을 즐기는 모습은 장소를 불문하고 종종 목격될 수 있다. 어디선가 나무 보드가 부서져라 뭔가를 내리꽂는 소리가 “딱! 딱!”하고 들리면 한번쯤 고개를 돌려서 확인해봄직하다. 공공의 매너를 보장하는 유명 까페라면 귀족의 품위를 깔고들 하더라만, 자신의 앞마당 같은 업장에서 됨직한 장년층 무리가 “옥”을 즐기는 날에는 관전자의 흥분까지 가세해서 전시를 방불케하는 굉음을 오래도록 들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장기라고 하면 한가하신 어르신들의 오락거리 정도로 치부했건만 캄보디아 분들이 그렇게 열광하는 모습은 자연스럽게 구미가 당겼다.

당시 캄보디아왕립아카데미(RAC) 연구원이셨던 사수는 자신의 딸에게 절대로 “옥”을 가르치지 않을 거라며 외국인 여성이라 예외적으로 가르쳐 주노라셔서 속으로 아연실색했던 기억이 난다. 그러거나 말거나 캄보디아올림픽위원회는 2019년 언론 보도를 통해서 “옥”을 2023년 동남아시안게임의 종목으로 채택되도록 지지를 모색하고 여성의 출전도 늘리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옥” 게임용품은 러시안마켓(프싸뚤뚬뿡)이나 센트럴마켓(프싸트마이)에서 구입 가능하고 품질에 따라 가격도 25불부터 250불까지 다양하다. 단언컨대 캄보디아 학생들을 초대한 자리에 “옥” 게임용품 하나면 세사 부족함이 없다./왕립프놈펜대학교 한국어학과 이영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