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순칼럼] 로맨스 산업

기사입력 : 2014년 06월 09일

international_marriage_and_relationships

작가 이름은 생각 안 나지만, 유럽 어떤 작가는 인간은 일생을 두고 두 번 쯤 결혼해야 만족하게 살 수 있다는 이색적인 주장을 폈다. 처음에는 젊은 여성이 나이 많은 남자와 결혼하여 살다가 연상의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중년에 이르면 젊은 남성과 두 번째 결혼을 한다. 일테면 청춘에는 중년과 살다가 중년이후에는 청춘과 사는 식이다. 생활이 안정된 중년의 배우자가 경제력이 약해 야망을 펼치기 힘든 젊은 배우자를 지원해 주는 대신, 젊은 파트너는 삶의 활력과 참신한 성적 욕구를 충족시켜준다는 게 그 결혼관의 요지이다. 캄보디아에서는 장년층 외국인 남성이 이곳 젊은 처자와 혼인하는 경우가 많아 이 “설”의 실현가능성이 어느 정도 엿보이지만, 그 다음 수순인 중년여인과 청년의 결혼 예는 찾아보기 힘든 점으로 보아 시기상조인 듯싶다.(신은 아직도 남성 편인 듯…)

세계적으로 타민족 간의 결혼이 점점 늘고 있다. 사회학자에 따르면, 인력, 재화, 기술, 물자들이 새로운 시장을 찾아 빠르게 재편성 되는 글로벌시대에 여러 인종이 섞이는 현상은 바람직한 일이고 궁극적으로 피할 수 없는 과정이라고 한다. 이처럼 세계가 가장 저렴한 지점을 찾아 움직이다보니 모든 것이 상품화 되는 추세이고, 신부감마저 시장에 내놓는 <국제결혼 브로커>가 극성을 부린지 오래다. 캄보디아 빈곤층 여성에게 있어 결혼이란 사랑의 성취라기보다 취업에 가깝다. “한 달 데리고 사는 데 얼마!”, 과년한 딸을 임대 놓기 위해 직접 영업을 뛰는 비정한 캄보디아 애비에 대한 얘기도 있다. 바야흐로 자진해서 “상품”이 되고자 국제결혼 전선에 나선 여성층도 등장했다. 시골처녀들이 부유한 한국남자만 찾는 바람에 혼사 길이 막힌 캄보디아 농촌총각의 안타까운 세태를 풍자한 대중가요까지 나왔으니. “요즘 캄보디아 아가씨들은 캄보디아 남자들과 결혼 하고 싶어 하지 않아…한국 할아버지들처럼 달러(돈)가 없어…” (번역, 정인휴)

저개발 국가에서 한국으로 시집 온 다문화가정 문제가 심각하다. 경제갈등, 무시모욕, 가정폭력 등의 사유로 10가구 중 4가구가 결혼 5년 내 파경을 맞고 있다니. 잘 사는 국제커플이 많아 더 이상 얘깃거리도 아니지만, 신부쇼핑이나 결혼한탕주로 맺어진 경우에는 예정된 귀결이 아닌가싶다. 뭔가에 대가를 지불한 사람이라면, 그 가치에 부응하지 못했을 때 불공정 거래에 대한 불만이 불거지게 마련이다. “돈으로 사랑과 인품, 자유, 영원을 제외한 모든 것을 살 수 있다.”는 빌리 그레이엄 목사의 지적도 있듯이, 소유권 행사를 원하는 남성과 신분상승을 꿈 꾼 여성의 거래가 어찌 진정한 인간적 교감으로 이어질 수 있겠는가. 흑백황인 연상연하, 국경과 나이를 초월하여 서로의 결점은 감싸 주고 장점은 나누는 결합이야말로 얼마나 이상적일까만, 로맨스가 상품으로 유통되는 데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따르는 모양이다. / 나순 (건축사, http://blog.naver.com/na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