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의료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의사 필요Posted 935 days ago
- 태국 국경 개방과 동시에 통행증 신청 쇄도Posted 935 days ago
-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수 제로를 향하여 5월1일 단 2건에 그쳐Posted 935 days ago
- 캄보디아-베트남 국경 인접 7개주 도로망 건설Posted 935 days ago
- 5월 초 집중호우·홍수경보Posted 935 days ago
- 캄보디아-베트남 돼지고기 밀수 단속 강화Posted 935 days ago
- 미국, 캄보디아에 코로나19 백신 200만 회분 기부Posted 935 days ago
- 캄보디아 2022 경제 성장률 5.4%로 하향 조정Posted 936 days ago
- 캄보디아 학교 폭력, 금품 갈취는 기본, 교사 폭행 등 심각Posted 936 days ago
- 캄보디아, 우기 오기도 전에 폭우로 6명 사망, 재산 피해 수백Posted 936 days ago
개발격차 양극화 문제
캄보디아의 개별격차는 여전히 심각하다. 국가적인 기준에서 보면 두 자리 수 성장과 빠른 성장을 경험하는 등, 발전 속도가 굉장히 빠르지만 이런 발전의 혜택들이 도시로만 돌아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기도 하다. 도심에서 조금만 벗어난 지방도 문명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곳이 많으며, 시골 사람들은 지난 세대가 살아온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답습해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인 앙코르와트가 위치한 시엠립주는 캄보디아 최고의 관광지이다. 그러나 시엠립주의 빈곤율은 전국적인 기준보다 훨씬 뒤쳐져 있다. 기획부 자료에 의하면 전체 주민의 3분의 1 정도가 최저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04년 시엠립주의 빈곤율은 42.2%로 국내에서 두 번째로 높았으며, 2009년에는 이 비율이 32.4%로 줄어들었지만 기획부가 발표한 20% 미만으로 떨어진 전국 빈곤율보다 훨씬 낮은 상황이다.
통계 자료가 모든 걸 다 보여주고 있다. 시엠립 주 주민의 90% 이상(약 187,175가구)가 농업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 중 60% 정도가 우물물을 길어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화장실을 갖춘 가구는 전체의 3분의 1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전체의 반 정도만이 안전한 식수를 먹을 수 있는 상황이다.
문맹 문제 또한 만연해 있다. 2011년 조사자료에 의하면 36~45세 인구 중 21%가 읽고 쓰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6~11세 사이의 어린이 중 16% 이상이 학교에 다니지 않고 있다. 학업 포기율 또한 심각한 상태인데, 특히 고학년 학생일수록 그 문제가 더해지고 있다. 15~17세 사이의 청소년 73,554명중 50%만이 학교에 다니고 있다. 나머지는 학업을 관두고 농사를 짓거나 직업을 구하기 위해 도시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 캐나다 출신 연구원인 반주라 반다라도 이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 그는 시엠립시 교외의 실상을 보고나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심지어는 교실에서 읽고 쓰기 수업을 받아야 마땅한 아이들 조차 거리에서 엽서를 팔거나 관광객들에게 구걸을 하고 있다. 그는 시엠립에 빈민이 너무나도 많다고 말하며, 관광분야로 인해 벌어들이는 수익 중 어느 정도가 지역공동체로 돌아가냐고 제기했다.
이건 답이 정해진 답변이다. 시엠립은 오전 5시부터 앙코르와트 입장권을 사기 위해 줄지어 서있는, 한국, 중국, 베트남 단체 관광객들로 붐비는 캄보디아 최고의 관광지이다. 작년에 캄보디아를 방문한 외국인들이 총 280만명이었는데 이 중 180만명의 외국인들이 앙코르와트를 방문했었다.
이 결과 캄보디아의 관광산업은 호황을 누리며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고, 다양한 수준의 호텔, 리조트 세스크하우스 등이 들어서고, 관광객들의 수요를 충족시키며 소비를 불러일으킬 기념품점, 식당, 야간 업소들도 문을 열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도시에서 수 백만명의 관광객을 매년 받아들이며 번창해나가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그 혜택은 골고루 분배되고 있지 않다. 막대하게 유입되는 현금 자본이 지역공동체까지 전해지고 있지 못하는 것이다.
지난 2008년 찌응 반나릇이 실시한 시엠립 지역 관광에 대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관광 산업에서 발생하는 실수익 대부분 항공사, 호텔, 대형 식당 등 외국계 투자자나 국내 재벌들에게 돌아가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캄보디아 주민들이 관광 산업 호황으로 인해 얻는 이익은 기념품점이나,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소소한 규모밖에 없다. 때로는 호텔이나 레스토랑에서 직원으로 일하는 사람들이 낙수효과의 혜택을 보는 정도이다./ 다음호에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