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의료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의사 필요Posted 1015 days ago
- 태국 국경 개방과 동시에 통행증 신청 쇄도Posted 1015 days ago
-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수 제로를 향하여 5월1일 단 2건에 그쳐Posted 1015 days ago
- 캄보디아-베트남 국경 인접 7개주 도로망 건설Posted 1015 days ago
- 5월 초 집중호우·홍수경보Posted 1015 days ago
- 캄보디아-베트남 돼지고기 밀수 단속 강화Posted 1015 days ago
- 미국, 캄보디아에 코로나19 백신 200만 회분 기부Posted 1015 days ago
- 캄보디아 2022 경제 성장률 5.4%로 하향 조정Posted 1016 days ago
- 캄보디아 학교 폭력, 금품 갈취는 기본, 교사 폭행 등 심각Posted 1016 days ago
- 캄보디아, 우기 오기도 전에 폭우로 6명 사망, 재산 피해 수백Posted 1016 days ago
NBC, 경제 평가 및 전망 발표
캄보디아 중앙은행(NBC)에서 2016년 평가 및 2017년 전망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지속적인 금융업계의 큰 성장을 강조하는 반면, 캄보디아가 여전히 대외 경제요인에 취약하다는 점을 경고했다. NBC는 보고서를 통해 캄보디아의 GDP성장률은 봉제업, 관광업, 건설업 및 부동산 부문의 계속적인 활황으로 인해 예상치인 7%를 달성했다고 전했다. 외국인직접투자(FDI)은 계속해서 유입되고 있으며 GDP의 10.7%에 도달했다고 덧붙였다. 물가상승률은 생활수준향상에 따른 국내 수요 증가의 결과로 약 2.9%의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나타냈다.
2016년의 금융 부문은 최근 다른 해들에 비해 다소 차분한 편이었지만 여전히 강력한 성장세를 경험했다. 은행자산은 17.4% 증가한 278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예금은 20.7% 증가한 154억으로 늘었다. 융자는 18.3% 증가하여 17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부실 채권 비율은 은행은 3.5%, 소액금융기관은 1%로 확인되었다.
경제 내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 수준은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NBC는 리엘 및 기타 유동자산에 대한 외화 예금 비율이 83%라며 국가 통화 정책의 효율성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고 보고했다. 이에 따라 NBC는 국내 통화 사용의 중요성에 대한 공공 인식캠페인, 리엘을 사용한 지불에 대한 거래비용 절감, 새 리엘 유동성 규정 개발 등을 통해 리엘 사용 촉진하고 있으며 금융 기관들에게도 점진적으로 리엘을 사용한 대출을 증가시킬 것을 요구하는 등의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NBC 보고서는 캄보디아 경제가 여전히 대외 하락세 조짐에 취약하다고 경고하며 특히 미국 통화정책 및 세계 무역 감소에 관련하여 취약하다고 나타냈다. 반면, 아세안 경제공동체의 통합과 중국의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전략으로부터 받는 무역 혜택이 GDP 성장률 유지를 위한 긍정적인 신호라고 말했다. 이에 더불어 EU 및 미국 수출에 대한 기존의 세금 면제도 긍정적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NBC는 캄보디아가 내년에도 농업 및 관광업의 재기에 힘입어 7%의 GDP 성장률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물가상승률은 유가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약 3%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최저임금 인상과 부동산 및 건설 부문의 성장 둔화 등의 다른 요인들이 내년 경제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